2018.01.15 │ 교육혁신과 / 김찬기 / 02-3999-042
□ 언론사명 : 뉴시스
□ 보 도 일: 2018년 1월 14일
□ 보도 내용
❍자유학기제가 2016년 서울시내 모든 중학교로 확대됐지만 서울시 산하기관 등 공공기관의 협조가 부족하다. |
□ 설명 내용
❍ 서울연구원 설문조사 시기인 2016.5.23.~6.31. 기간은 세월호 사건 이후 외부 체험활동 시 학생 안전 문제로 진로체험 운영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었던 시기임
❍ 「진로교육법」에 따라 정부, 지자체, 공공기관, 지방공기업의 진로체험 기회 제공 의무화(2015.12.23.시행) 및 대학과 전문대학의 우수한 물적․인적자원을 활용하여 학과와 연관된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음
❍ 공공기관, 대학, 민간기업 등의 체험처, 체험 프로그램을 진로체험지원전산망(꿈길, www.ggoomgil.go.kr)에 탑재하여 학교와 연계하고 있으며, 2017.1.1.~12.31. 기간 중 25개 자치구 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에서 3858건의 체험 프로그램을 학교와 연계하여 운영하고 있음
❍ 모든 진로체험 제공 기관에서 별도의 조직 및 인원을 확보하고 있지는 않으나, ‘진로체험’ 업무를 겸임한 직원은 배치 운영하고 있는 상태임
❍ 서울시교육청 진로교육활성화 조례(2016.7.7.)와 25개 자치구 중 10개 자치구에서 진로체험 운영 관련 조례가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으며, 현재 25개 자치구별 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가 구축 완료되어 학교와 체험처 간의 유기적 연계를 지원하고 있음
❍ 서울시교육청은 국가진로교육센터와 연계하여, 25개 자치구별 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의 플랫폼 역할과 단위학교 진로체험 활성화를 지원할 수 있는 서울시교육청 진로교육센터 구축을 추진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음
❍ 향후, 서울시교육청은 단순 일회성 체험에서 벗어나, 교실수업과 연계한 의미 있고 질 높은 체험활동을 운영할 수 있도록, 행정기관․민간․대학 등과 협력을 강화하고 양질의 체험처와 프로그램을 지속 발굴하여 학교와 연결할 예정임
□ 붙임
1. 자치구별 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 현황
2. 서울시 자치구별 조례제정 현황(2018.1.15.)
[Copyrights ⓒ 서울교육소식 (enews.sen.go.kr) 배포시 저작자 반드시 표기]
본 저작물은 "공공누리 제2유형(출처표시-상업적 이용금지)"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.
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보도자료 상단의 담당자 및 연락처로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.
이전기사 | [참고] 유아대상 영어학원 관련 자료 |
---|---|
다음기사 | [설명] 교육지원청 만족도 조사 보도 관련 |